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차이점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차이점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by 동네방네~ 2022. 3. 10.

보통은 2년마다 3년마다 스마트폰 기기변경을 합니다.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하기 위해서 공시 지원금 할인, 선택 약정할인 두 가지 방식의 할인 방법이 있습니다. 어떤 방법이 좋은지 각 할인 방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공시 지원금

공시 지원금은 말 그대로 구입할 스마트폰의 가격에서 지원금만큼 이 할인되어 싼 가격으로 스마트폰 기기를 구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출고가가 100만 원인 스마트폰 A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공시 지원금은 20만 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이 구입하는 스마트폰의 가격은 출고가에서 공시 지원금이 빠진 80만 원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공시 지원금 구매 가격 = 출고가 - 공시 지원금
  • ex) 출고가 100만 원, 공시 지원금 20만 원의 경우, 구매 가격은 80만 원

 

선택 약정

선택 약정은 스마트폰 기기의 가격을 할인받는 것이 아니라, 월마다 청구되는 스마트폰 통신비 할인으로 가격을 할인받는 방법입니다. 선택 약정은 요금제에 25% 금액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싼 요금제를 사용할수록 선택 약정으로 할인되는 통신비가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월 5만 5천 원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과 월 9만 원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의 선택 약정으로 인한 통신비 할인은 약 2배 가까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사용할 요금제가 비싼 경우에 선택 약정으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월 통신요금의 25% 할인
  • ex) 월 90,000원 요금제 사용 -> 월 22,500원 할인,  월 55,000원 요금제 사용 -> 월 13,750원 할인

 

어떤 요금제가 저렴한가?

공시 지원금과 선택 약정 두 가지 할인 방법에 대해서 어떤 요금제가 저렴한가라는 질문이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했을 때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공시 지원금이 큰 경우에는 공시 지원금으로 인한 할인이 선택 약정으로 할인받는 금액보다 클 수도 있고, 공시 지원금이 작은 경우에 선택 약정으로 할인받는 금액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 약정 할인으로 가입하신 경우에 월 요금제가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한다면 그다지 매력적인 선택은 아닐 수 있습니다.

앞서 드린 예시를 통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공시 지원금이 20만 원이라고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월 9만 원 요금제를 사용할 때 선택 약정 할인은 월 22,500원입니다. 선택 약정은 일반적으로 2년간 유지되므로, 선택 약정으로이란 할인 금액은 월 2만 2500원에서 24를 곱한 금액이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택 약정으로 가입하는 것이 훨씬 더 큰 할인 혜택을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공시 지원금 금액 = 20만 원
  • 월 90,000원 요금 사용 시 선택 약정 할인 금액 = 54만 원
  • 월 55,000원 요금 사용 시 선택 약정 할인 금액 = 33만 원

위와 같이 공시 지원금 금액과 월 요금제에 따른 선택 약정 할인 할인 방법 선택 시 총 할인 금액에 대해서 계산해 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스마트폰을 구매하실 때 지금까지 잘 모르고 계셨다면 이번 기회에 숙지하셔서 저렴하게 핸드폰 구입하시기를 바랍니다. 한 번만 익혀 놓으시면 스마트폰을 교체하실 때마다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