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언제가 적당한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언제가 적당한가?

by 동네방네~ 2022. 3. 9.

차량을 소유하시고 계신 분들은 엔진오일을 적당한 주기에 교체해 주어야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엔진오일을 얼마나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지 그 적당한 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엔진오일이란?

먼저 차량의 엔진오일을 얼마나 자주 교체하는지 알아보기 전에, 엔진오일이 차량 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말씀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차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엔진 오일이라고 하면 차량 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잘 알지 못합니다. 저 역시 처음에  엔진오일을  교체해야 하는지도 몰랐고,  엔진오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몰랐습니다.

차량 내부에서는 운전 중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엔진 블록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마모가 일어납니다.  이때 발생하는 마차를 줄일 수 있는 윤활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엔진오일입니다. 이것이 엔진 오일의 핵심 기능이며 이외에도 부식을 막아주고 엔진의 상태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결국 부품의 수명을 늘려 주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엔진오일 교환주기에 대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이나 일반 차량 운전자들의 의견이 매우 다양합니다. 짧게는 5,000 km 간격으로 교체하시는 분도 계시고 많게는 10,000 km 혹은 15,000 km 마다 한 번씩 교체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결국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는 절대적인 수치로 나타나지 않고, 운전습관이나 차량 운행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 제조 회사(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의 경우 아래와 같이 권장하고 있습니다.

  • 일반 조건 : 10,000 ~ 20,000km 주행 시 교체 및 12개월마다 1회 교체
  • 가혹 조건 : 7,000km ~ 15,000km 주행 시 교체 및 6개월마다 1회 교체

이러한 가이드라인 때문인지, 통계에 따르면 택시 운전기사님들은 약 6~7,000km마다 한 번씩 주로 교체한다고 합니다.

수도권에서 시내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보통 출퇴근 시간에 주로 운전을 하게 되며, 평균 속력이 20~ 30km/h로 운행합니다. 해당 값은 위 국내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가혹 조건에  들어맞게 됩니다.  지방에서 운행을 하는 경우라도 평균 속력이 약 40 km/h로 통계상  나타났습니다.  이런 조건들을 고려했을 때,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가혹 조건에 맞게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것도  차량 관리에 있어서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