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에 통정거래와 자전거래 차이점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거래에 통정거래와 자전거래 차이점은?

by 동네방네~ 2022. 4. 3.

주식거래들은 세력에 의해 움직이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통정거래입니다. 통정거래는 통해 주가를 올려 개인투자자에게 피해를 보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인 자전거래도 있는데 자전거래는 통정거래와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정거래

특정 세력들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만큼의 거래량으로 주가를 의도적으로 상승시키는 거래행위입니다. 똑같은 주식의 양으로 거래가 같은 사람들에게 돌고 돌면서 가격은 계속 올라가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의도한 가격으로 올라가면 이제 세력들은 가격을 올려 빠지게 되고, 가격이 올라간 주식을 개인투자자들이 매입하여 큰 손해를 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통정거래 방식

  • A라는 주식이 1000원에 가격이 형성되어있음
  • 특정세력 '가', '나', '다'라는 3명이서 주가를 올리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거래 진행
  • '나'는 '가'로부터 1,000원의 주식을 1,500원에 매수
  • '다'는 '나'로부터 1,500원의 주식을 2,000원에 매수
  • 다시 '가'는 '다'로부터 2,000원의 주식을 3,000원에 매수
  • 개인투자자들이 관망 후 결국 3,000원에 매수
  • 이전과 같은 거래량이 나오지 않아 가격은 결국 1,000원으로 돌아가고 개인투자자들의 손해로 이어짐

위와 같은 방식으로 1,000원이었던 주식은 200%가 상승한 3,000원에 가격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때,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 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지켜보며 뒤늦게 따라 타려다가 결국 3,000원에 물량을 받고 손해를 보게 됩니다.

 

 

자전거래

자전거래는 동일한 수량을 동일한 시간대에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대량의 주식거래를 하기 위한 거래행위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면 큰 폭의 가격 상승 또는 가격 하락이 나타납니다. 통정거래처럼 특정 시간대, 특정 거래량으로 맞추어 거래가 진행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증권 주가의 급등과 급락을 막기 위해 거래소에 신고가 필요하고, 개인투자자에게 물량을 떠넘기는 것이 아니라 대기업들의 지배구조 개편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자전거래 방식

자전거래 방식은 통정거래와는 달리 거래소에 신고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주식의 가격을 크게 변동시키지 않으며 개인투자자에게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시간을 정하여 거래가 진행됩니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투자자에게 물량을 넘기는 통정거래와 차이를 보이는지 아래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장 중에 대량매매를 진행할 때는 신고가 필요하지 않으며 장의 시작과 끝 그리고 시간 외 거래 시에만 신고가 필요합니다.

  • 장이 열릴 때 시가로 매매 혹은 장이 닫힐 때 종가로 매매
  • 장이 끝난 뒤에 특정시간 종가를 기준으로 특정 호가범위 내에서 매매
  • 장 중에 대량매매를 진행 

첫 번째와 두번째방법은 개인투자자들이 거래에 끼어들지 못하게 하여 거래가 진행되지만, 마지막 장중 대량매매를 진행할 때는 개인투자자들이 끼어들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는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